MG47. 붕대 감은 소철나무
소철(蘇鐵)나무는 철수(鐵樹), 피화초(避火蕉), 봉미초(凤尾蕉)라고도 하는데 상하이에서는 어디서나 볼 수 있는 관상수라 할 수 있다. 소철나무는 진핵생물역(Eukaryota) 식물계(Plantae) 소철문(Cycadophyta) 소철강(Cycadopsida) 소철목(Cycadales) 소철과
![]()
![]()
(Cycadaceae) 소철속(Cycas)의 식물로서 화석상의 기록으로는 2억 8천만여 년의 역사를 자랑하는데 당시에는 대형 초식 공룡들의 식사용이었다 한다. 소철나무의 생명력은 엄청나서 불에 그을려 바싹 말라도, 뿌리째 뽑아 3~4일 햇볕에 말려도, 소철 줄기를 묶어 바닷물에 빠뜨려 끌고 와도 죽지않았다고 한다.
그래도 소철나무가 추위에 약한지 겨울이 되면 얼어죽을까봐 상하이에서는 붕대로 칭칭 감아 놓는다. 3가지 방식이 있음을 알 수 있다.
(1)잎만 감은 것
![]()
(2)줄기만 감은 것
![]()
(3)잎과 줄기를 모두 감은 것
![]()
이러한 광경을 보면서 나는 웃음을 터뜨리지 않을 수 없었다. 도대체 어느 것이 옳을까. 이제 봄이 되어 모두들 “옷”을 벗었다. 보호 결과가 어떻든 위의 보호 조치 중 과보호(過保護)나 보호미달(保護未達)이나 오보호(誤保護)가 있음이 틀림없다.
한낱 나무 몇 그루, 붕대 몇 미터에 불과하니 어찌하여도 대수롭지 않은 것 같다. 그러나 이러한 사고 방식으로 자녀를 교육한다면 그 후과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가 될 수도 있다. 지구는 돌고 돌지만 인생은 단 한 번, 가면 다시 돌아오지 않으므로 무엇보다 중대한 것은 부모들의 선택이다. 부모들은 자기도 보고 자녀도 보면서 자녀의 진로에 적합한 선택을 해야 할 것이다. 그러나 후회 안 하는 부모는 별로 없는 것 같다. ㅁㅁㅁ
(20230324, 박창근)